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기 신체발달, 골격 및 치아의 발달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2022. 4. 22. 18:38
    반응형

    유아기 신체발달

     유아기의 신체적 특징은 신체적으로 성장하여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놀이하고 돌아다닌다. 유아기 때는 운동을 관리하는 대뇌피질이 발달하고, 신체적으로 성장하고, 그리고 운동기능이 급속히 발달한다. 유아기의 신체발달은 영아기 때보다 급속도로 이루어지지는 않으나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유아기 신체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1. 신체적 성장

     유아기의 신체적 성장은 영아기 때보다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신장과 체중이 꾸준히 증가한다. 키와 몸무게는 꾸준히 자라면서 팔다리가 길어지고, 몸통이 가늘어지는 등 신체 비율이 달라지면서 개인적인 차이도 크게 나타난다. 신장은 2세부터 6세까지 매년 7cm씩 증가하여 6세가 되면, 성인의 65%인 115cm로 성장하고, 체중의 증가도 완만하게 이루어져 6세가 되면 성인의 30%인 20kg 정도가 된다. 일반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신장이 약간 크고, 체중도 약간 더 나간다.

     

     유아기의 신장과 체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인 영향도 있지만, 건강관리를 들 수 있다. 특히, 두뇌발달과 신체적 성장을 위해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저소득층 유아보다 중산층 유아, 시골의 유아보다 도시의 유아, 그리고 둘째보다는 첫째 유아가 신장과 체중이 더 큰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2. 신체 비율의 변화

     머리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머리와 몸통이 차지하는 신체 비율의 변화는 신생아 때 머리는 신체가 차지하는 비율의 1/4이고, 영아기 말 2세가 되면 신체의 1/5, 유아기 말인 6세 때가 되면 1/6, 그리고 아동기(6~11세)에는 1/7~1/8 정도로 성인의 모습과 같다. 유아기 때는 체지방이 꾸준히 감소하고 팔과 다리가 길어지면서 머리의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통통했던 모습이 홀쭉한 모습으로 변해 간다. 또한, 아동기 때는 얼굴 모양이 동그란 모습에서 길쭉한 모습으로 변하고, 어깨는 넓어지고, 그리고 코와 입이 커지고 넓어져 전체적인 얼굴 모습도 달라진다.

     

    3. 골격 및 치아의 발달

     유아기 때 근육 및 골격은 계속해서 성장한다. 유아는 뼈의 조직이 부드럽고, 유연하여 상처나 충격에 비교적 빠르게 회복된다. 또한, 뼈의 구조가 굽어 있어서 몸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안쪽으로 굽은 다리뼈는 걷기 시작하면서 곧게 펴지기 시작하여 6세 경이 되어야 곧게 된다.

     

     치아는 유치가 모두 20개이고, 영구치가 28~32개이다. 유아기 때인 24~30개월에는 유치 20개가 모두 나오는데 개인차는 있을 수 있다. 성장함에 따라 턱이 커지면서 유치는 1년에 약 4개씩 영구치로 대체된다. 6세 정도에 유치가 한두 개씩 빠지기 시작하여 첫 번째 어금니가 나고, 두 번째 어금니는 13세 정도, 그리고 세 번째 어금니인 사랑니는 20세경에 나오는데, 사랑니가 영원히 나지 않는 사람도 있어서 보통 영구치는 28~32개이다. 이처럼 유치와 영구치가 교환되는 시기에 입술 깨물기, 혀 내밀기, 손톱 깨물기 등의 부적절한 습관은 턱이나 치아 등의 형태나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이가 바르게 물리지 않게 되는 부정교합이 초래된다. 부정교합이 심한 경우에는 발음장애나 성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나쁜 습관이 있는지를 발견하여 고쳐 주어야 한다.

     

     또한, 좋지 못한 식습관으로 충치나 잇몸 질환이 있을 수 있다. 사탕과 같이 단맛이 있는 군것질 음식은 치아건강에 좋지 않다. 이처럼 당이 있는 설탕은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데 매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당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는 산을 생성하는데, 이 산은 치아 표면의 법랑질을 부식시킨다. 법랑질이 부식된 다음 박테리아는 치아의 상아질을 파괴한다. 충치를 방치하면, 치수(치아 내 신경 및 혈관 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이를 뽑아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아동기 때, 건강한 치아를 가질 수 있도록 올바른 칫솔질을 가르치고 규칙적으로 치아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김현호 외, 『유아발달』, 정민사, 2015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