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기 공격성 및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보상이론, 모방이론, 인지사회이론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2022. 5. 9. 16:33반응형
공격성 및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에 대해 알아보자 1. 공격성 및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공격성은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사물에 해를 끼치는 행동을 의미한다. 상대방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공격적인 행동으로 인해 언어적, 비언어적, 신체적 상해를 받는다. 신체적 공격의 경우는 손으로 치기, 발로 차기, 물기, 할퀴기, 밀기, 꼬집기, 걸어 넘어뜨리기, 물건을 던져 상대방 맞히기 등의 행동과 그렇게 시도하려는 행동 등이 있다. 프로이트는 공격성이 본능적 개념이라고 주장하고, 반두라는 공격성은 학습된 행동이고 직접적 경험과 사회적 모방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보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격성은 바람직하지 않고 반사회적인 행동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공격성은 도구적 공격성과 적대적 공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구적 공격성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격적 행동을 하였으나 상대방을 해칠 의도가 없는 행동이다. 예를 들면, 유아가 마음에 드는 장난감을 갖기 위하여 상대방을 해치고 때리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구적 공격성은 목적이 달성된 뒤에는 공격 행동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반면 적대적 공격성은 종종 특정한 개인을 향해 그 사람을 해치기 위한 공격행동으로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친사회적 행동은 자신이 어떠한 대가를 바라지 않고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나누기, 돕기, 위로하기, 보살피기, 협조하기 등이 대표적인 친사회적 행동의 예이다.
2. 공격성에 관련된 이론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하면 공격성 발달은 개인차에 의해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보상이론, 모방이론, 그리고 인지사회이론 등이 있다.
ㆍ보상이론
공격성은 공격적 행동이 공격자에게 보상을 주기 때문에 발달한다고 하였다. 패터슨은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의 공격적 행동을 장시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격적 행동은 공격적 행동을 한 유아에게 자주 나타나고, 공격적 행동을 한 유아들은 75% 정도가 자기 자신에 만족하고 보상의 결과를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공격적 행동에 희생된 유아는 양보심이 많고, 공격을 피하려 하고, 그리고 원하는 장난감을 빼앗기고 우는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반응은 공격적 행동은 되풀이되고 또한, 공격 피해자는 되풀이되면서 당하는 계기가 된다.
ㆍ모방이론
모델의 공격적 행동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공격성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사회학습이론가인 반두라는 어린이집 유아들에게 성인이 인형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영상을 보여준 A그룹과 공격적인 행동이 없는 영상을 보여준 B그룹을 분류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영상에서 본 것과 같은 인형과 여러 가지 장난감이 있는 방에 A그룹과 B그룹의 유아들을 같이 놀게 하고 유아들의 행동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격적인 영상을 본 A그룹은 공격성이 없는 영상을 본 B그룹보다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고 있었다. 모델의 공격적인 행동은 유아가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하면서 더 나아가 새로운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ㆍ인지사회이론
도지는 공격성이 인지사회적으로 잘못된 판단에 의해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공격적인 행동은 상대방의 의도를 해석하는 기술의 부족으로 내면에서 판단 없이 즉흥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출처: 김현호 외, 『유아발달』, 정민사, 2015
반응형'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기 배설장애, 유분증, 유뇨증, 섭식장애, 신경성 거식증, 신경성 폭식증 (0) 2022.05.12 유아기 공격성 통제방법, 심리정화 기법, 비공격적인 환경 조성, 공격성에 대한 보상 제거하기 및 일시 격리법, 공감을 통한 훈련, 모델링과 직접 지도하기 (0) 2022.05.09 유아기의 언어발달, 단어 수의 증가, 과잉확대, 과잉축소, 문법의 발달 (0) 2022.05.02 언어발달의 주요 이론, 스키너 반두라의 행동주의 이론, 성숙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2022.05.02 유아기 지능발달, 지능의 개념, 스텐버그의 삼원이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지능이론 (0) 2022.04.29